줄거리
울고 싶은 나는 고양이 가면을 쓴다(泣きたい私は猫をかぶる, A Whisker Away, 2020) 이 영화의 감독은 꼬마마법사 레미와 세일러문을 감독했습니다. 우리에게도 친숙한 애니메이션 중 하나이다. 이 영화는 넥플리스를 통해 개봉되었다.
주인공 미요 사사키는 밝고 활기찬 중학생 소녀다. 미요는 같은 반 친구 히노데를 짝사랑하지만 히노데는 그녀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무반응이다. 어느 날 히노데에게 쓴 러브레터를 건넨 미요는 같은 반 친구들에게 뺏겨 공개적으로 읽히게 된다 친구들의 야유 속에 히노데의 네가 싫다는 직접적인 말로 상처를 입고 뛰쳐나가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미요는 신비로운 '고양이 가면 장수'로부터 고양이로 변할 수 있는 가면을 받게 된다. 이 가면을 쓰면 그녀는 하얀 고양이 "타로"로 변신할 수 있고, 고양이가 된 미요는 히노데의 집을 찾아가 그의 품에서 안식을 얻는다. 히노데는 타로를 매우 아끼며 고민을 털어놓고, 미요는 히노데와 가까워질 수 있다는 기쁨에 점점 더 고양이의 삶에 의존하게 된다.
이 일이 있고 나서 모든 게 위선이라고 느껴진 미요는 집에서도 새엄마와 다투고 고양이로 살기로 결심한다. 고양이 된 미요는 웬일인지 히노데의 말을 전혀 알아들을 수 없게 되고 점점 고양이로 변해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 가면에는 위험한 비밀이 숨겨져 있었다. 가면을 계속 사용하면 영원히 인간으로 돌아올 수 없게 되는 것.
고양이 가면 장수는 미요에게 인간의 삶을 포기할 것을 유혹하고, 그녀는 현실에서 느끼는 외로움과 히노데의 곁에서 고양이로 남고 싶은 마음 사이에서 갈등한다. 미요는 사람들이 자기한테 아무도 관심을 갖는 사 람이 없다고 생각하고 아예 고양이가 되기로 결심한다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다른 인생을 살고 싶어 하는 염원을 상상한 게 아닐까 생각한다. 누구나 현재의 내가 아닌 다른 인생을 꿈꾸기도 한다 그러나 미요에게 아무도 관심이 없는 게 아니라 미요가 없어지자 히노데, 아빠, 엄마, 새아빠도 찾으러 다니는 모습을 보고 생각이 달라진다
미요의 얼굴을 가져가버리고 가짜 미요가 된 '기나코'는 새엄마의 고양이로 미요를 대신하여 집으로 돌아갑니다. 기나코는 자신의 집사인 미요의 새엄마를 곁에 두고 더 행복하게 해 주고 싶은 마음에 미요의 삶을 선택합니다. 집에 미요 대신 가짜 미요가 들어가게 된다. 가짜 미요는 새엄마가 키우는 기나코인데 미요대신 가짜 미요가 되어 새엄마와 살게 된다.
이 모든 것을 알게 된 미요는 고양이 섬으로 가게 되고 이곳에서 만난 고양이들도 미요와 같이 전에는 사람이었다가 이제는 고양이가 된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돌아가고 싶어도 돌아갈 수 없다. 가짜 미요 행세를 했던 기나코도 후회하고 다시 고양이로 돌아가기 위해 고양이 섬에 히노데와 함께 온다.
돌아오는 축제에 고양이 섬의 신성수가 깨어나면 미요와 기나코는 영영 서로의 삶에 살게 된다. 고양이 기나코를 찾는 미요의 새엄마의 모습을 보며, 가짜 미요가 된 기나코는 다시 고양이의 모습으로 돌아가 고 싶어 히노데의 도움을 받고자 한다. 타로가 사실은 미요였다는 사 실을 알게 된 히노데는 고양이 섬으로 미요를 찾으러 간다.
섬에서 가면 장수를 찾던 미요는 가면 장수에게 가면을 뺏긴 고양이들을 만나 도움을 받는다. 미요는 기나코를 만나 인간 가면을 돌려받지만 인간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가면 장수에게 끌려간다. 히노데 또한 고양이 가면을 썼기 때문에 고양이로 변할 위험에 처하지만, 인간의 삶으로 돌아가고자 고군분투한다. 다행히 반인반묘들의 도움을 받아 히노데와 미요 모두 인간으로 돌아오고, 기나코도 고양이의 모습으로 집사에게 돌아간다.
관전포인트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주인공이 고양이로 변신할 수 있는 가면을 통해 다른 삶을 경험하는 설정은 신선하면서도 철학적이다. 인간과 고양이의 세계를 오가며 정체성을 고민하는 미요의 모습은 단순한 판타지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처음에는 히노데에게 일방적으로 애정을 표현하는 미요의 모습이 부담스럽게 느껴지지만, 영화가 진행될수록 두 사람은 서로를 이해하고 감정을 공유하며 한층 성장해 나간다. 특히 히노데가 미요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은 감동적이다.
미요는 가족과의 소원한 관계, 외로움, 현실에서의 도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는 캐릭터다. 영화는 그녀가 이런 문제를 마주하고, 결국 현실에서 자신의 자리와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그려낸다.
인간들이 모르는 신비한 고양이들의 세계는 몽환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로 표현된다. 가면 장수의 가게와 고양이 마을의 연출은 일본 애니메이션 특유의 감성을 극대화하며, 영화의 몰입도를 높인다.
"도망치는 것이 항상 정답은 아니다." 영화는 현실이 힘들더라도 자신을 받아들이고,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총평
이 작품은 자아 정체성, 인간관계, 성장이라는 깊은 주제를 판타지적 요소와 감성적인 스토리로 풀어낸다. 미요는 처음에는 현실을 피하고 싶어 고양이의 삶을 선택하지만, 결국 쿤데라와 주변 사람들의 진심을 깨닫고 인간으로서 자신의 삶을 마주하게 된다. 이 과정은 우리가 어려움을 겪을 때 도망치는 것보다, 진정한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의 가치를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또한, 미요와 히노데의 관계 변화도 인상적이다. 처음에는 다소 억지스럽게 보였던 미요의 애정 표현이, 후반부로 갈수록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으로 자연스럽게 발전한다. 히노데 역시 미요의 존재를 당연하게 여기지 않고, 그녀가 사라졌을 때 비로소 그녀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였는지를 깨닫게 된다.
비주얼적인 면에서도, 고양이 세계의 몽환적인 연출과 따뜻한 색감은 영화의 감성을 더욱 극대화한다. 신비로운 가면 장수, 고양이 마을의 독특한 분위기 등은 일본 애니메이션 특유의 정서를 잘 살려내며, 단순한 로맨스 애니메이션 이상의 감동을 준다. 결국 "자신을 받아들이고, 현실을 마주하는 용기"에 대한 이야기다. 때때로 현실이 힘들고 외로울 때가 있지만, 진정한 행복은 다른 존재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고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음을 알려주는 따뜻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