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거리
1980년대 초, 부산. 주인공 송우석(송강호)은 학력도, 배경도 없는 무명의 세무 변호사다. 법조계에서는 사법고시 출신이 아닌 사람들을 무시하지만, 송우석은 포기하지 않고 부동산 계약과 세금 관련 소송을 전문으로 하며 성공 가도를 달린다. 그는 변호사가 된 후, 과거 자신이 밥값도 내지 못했던 허름한 국밥집 ‘대중분식’ 의 주인 최순애(김영애) 와 다시 만나게 된다. 순애는 어려운 살림 속에서도 송우석을 따뜻하게 대했던 은인이다. 이제 성공한 송우석은 그녀에게 “앞으로국밥값은 꼭 내가 내겠다”며 의리를 다짐한다. 그렇게 그는 사회적으로 안정된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어느 날, 송우석은 충격적인 소식을 듣는다. 최순애의 아들 진우(임시완)가 갑자기 실종되었다는 것이다. 알고 보니, 진우는 대학생 친구들과 함께 공부 모임을 하다가 경찰에 끌려갔다. 하지만 단순한 연행이 아니었다. 진우와 친구들은 '책을 읽었다'는 이유로 간첩으로 몰려, 군부 정권의 고문을 당하고 있었다. 물고문 ,전기고문, 구타와 협박 비참한 고문 끝에 강제 자백까지 받아내려는 경찰들. 송우석은 처음에는 이 사건을 모른 척하려 했지만, 진우의 피투성이가 된 모습을 본 순간, 자신이 꼭 그들의 변호인이 되어야 한다고 결심한다.
송우석은 법정에서 국가 권력의 부당한 폭력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진우와 학생들의 무죄를 주장한다. 하지만, 정부는 국가안보를 이유로 증거 조작과 부당한 재판을 진행하며, 심지어 법정을 감시하는 정보부 요원들까지 동원한다. 결국, 송우석은 독재 정권과 맞서야 하는 상황이 된다. “이것은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한 인간의 삶과 정의의 문제 라는 것을 깨닫고, 그는 물러서지 않기로 한다.
송우석은 정부에 반대하는인물로 찍혀 협박과 테러, 감시를 당하며 고통받는다. 그를 변호하는 사람조차 점점 줄어들고
가족들마저 걱정하며 만류한다. 하지만 그는 굽히지 않는다. “법은 국민을 지키기 위해 있는 것이다. 그의변호는 단순한 한 사건이 아니라,부당한 권력에 맞서 싸우는 저항의 상징이 된다. 결국, 법정에서 송우석은“이 나라의 주인은 국민입니다!”라고 외치며정의로운 변호사의 길을 끝까지 걸어간다.
관전포인트
영화는 '1981년 부림 사건 실제 일어난 실화를 모티브로 제작되었다. 부림 사건은 실제로 부산의 대학생들이 독서 모임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간첩으로 몰려 고문을 당했던사건이다. 송강호가 연기한‘송우석’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실제 변호사 시절을 모델로 하고 있다.
송우석 역을 맡은 송강호의 연기력은 영화의 몰입도를 최고조로 끌어올린다. 특히 법정 장면에서 국가권력에 맞서 싸우는 강렬한 연설은 영화의 백미이다. 실존 인물의 감정을 완벽히 재현한 송강호의 깊은 감정 연기를 볼 수 있다.
영화는 '법이 누구를 위해 존재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 법이 권력자의 도구가 아닌,국민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렬하게 전달한다. 군부 독재 시절, 국가 권력이 국민을 탄압했던 어두운 역사를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고문, 조작된 증거, 부당한 재판 등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어, 당시 시대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총평
송우석은 원래 돈과성공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인물이었다. 하지만 진우라는청년이 부당하게 고통받는 모습을 본 순간,
그는 자신이 변호사가 된 이유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그의 변화 과정은, 한 인간이 정의를 위해 싸우기로 결심하는 과정이 얼마나 고통스럽지만, 결국은 옳은 선택일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영화에서 가장 강렬한 장면 중 하나는, 송우석이 법정에서 외치는 말이다. 국가란 국민입니다! 이 대사는 법이 권력의 것이 아니라 국민을 보호하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영화를 통해, 우리는 지금의 법과 정의가 정말로 국민을 위한 것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이 영화는 단순히 1980년대 이야기로 끝나지 않는다. 지금도 여전히 부당한 권력과 싸우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가 던지는 질문들은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송우석이 변호를 맡은 이유 중 하나는,그가 가족처럼 여겼던 국밥집 아주머니의 아들이 억울한 일을 당했기 때문이다. 즉, 이 영화는 거창한 정의가 아니라, 가까운 사람을 지키고 싶은 마음에서 시작된 싸움이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